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53

노가다 일용직 혹한기 겨울대비 필수품(안전화/장갑) 정말 많은분들이 잠깐 알바가 되었든 아니면 장기적으로 근무를 하시는거든 각자의 상황은 다르겠지만 지금처럼 추운 겨울에도 열심히 현장에서 일용직으로 흔히 말하는 노가다를 하시는분들이 계십니다. 현재 하고 계시는분들이라면 다들 알아서 방한대비에 신경 쓰면서 하고 계시겠지만 이제 막 시작하려는 계획이 있으신분들이라면 생각보다 하루종일 밖에 있는게 정말 춥고 힘든일이니 꼭 혹한기대비마냥 준비하고 가셔야 합니다. 손이 얼어버리면 답이 없다 일단 손이 얼어버리면 정말 답이 없습니다. 보통 작업할때 사용하는 장갑은 일반적인 빨간 목장갑을 생각하실텐데 그거 하나 가지고 현장에 가셔서 노가다 하시면 진짜 극한의 고통을 체험하시다 오실겁니다. 작업이 힘든게 절대 아니라 추위가 힘든겁니다. 여름과 달리 겨울에는 어짜피 작업.. 2023. 11. 24.
태국 출산율이 0.9명대 진입한 이유(+아시아 출산율) 현재 지구상에서 저출산이 사회적 문제로 가장 인식 되고 있는 지역은 아마 아시아가 아닐까 싶습니다. 일단 초저출산의 1인자 한국과 더불어 대만/일본/중국 동아시아 4개국 포함해서 동남아시아의 태국까지 저출산 라인에 합류했습니다. 특히 도시국가(홍콩,마카오)를 제외한 사이즈가 나오는 국가 단위에서는 한국 혼자 0.X대여서 조금 외로웠는데 친구들이 생겼습니다. 올해 대만이 0.8명대를 기록 예정중이며 중국은 내년에 0.9명대로 진입이 예측 되고 있고 2022년 1.0명의 출산율을 기록했던 태국이 올해 0.9명대로 한국에게 손을 내미는 모습입니다. 일본은 과거부터 탈아시아를 외쳤던 국가답게 아직 내려올 생각이 조금 덜한것 같습니다. 2022년에 1.2명대 출산율을 기록했고 올해는 1.1명 기록 예측중입니다. .. 2023. 11. 23.
동남아시아(베트남/태국/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가 선진국 진입이 힘든 이유 사실 동남아시아에는 여러 국가들이 있지만 일단 가장 대표적으로 떠오르는 국가들과 그리고 어느정도 국력의 사이즈가 되는 국가들은 대게 인도네시아/태국/베트남/필리핀/말레이시아 이정도입니다. 여기서 태국과 말레이시아는 개발도상국과 중진국의 중간선상에 있는것으로 대체로 보는편이고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는 개발도상국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후발주자 국가들이 경제적으로 선진국 진입이 힘든 이유가 뭘까요? 일단 잠깐 한국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가끔 방송이나 유튜브에서 보면 마치 한국만을 2차 세계 대전이후에 유일하게 초고속 경제 성장에 성공한 국가로 말하는데 사실 그렇지는 않습니다. 아시아만 봐도 일본/대만/중국 역시 초고속 성장에 성공한 국가들입니다. 물론 한국의 경우가 조금더 극단적이긴 했던게 1945년 .. 2023. 11. 22.
2023년 북유럽(핀란드/스웨덴/노르웨이/덴마크)의 인구와 GDP 상세비교 2023년 올해 기준으로 북유럽 대표 4개국 핀란드/스웨덴/노르웨이/덴마크의 인구와 GDP를 자세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먼저 사실 북유럽하면 생각나는 이미지는 막연히 부유하고 평화롭고 복지가 좋은 하지만 물가는 비싼 국가들이 모여있는 지역으로만 떠오를뿐 북유럽 국가들이 어떤 이유로 부유하게 성장했는지 어떤 기업들이 있는지는 솔직히 자세히 모르는 사람들이 아마 8할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해당 이야기까지 들어가면 너무 길어질것 같아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단순 수치로만 일단 북유럽 국가들을 표로 비교하면서 대략적인 느낌만 알아가려고 합니다. 2023년 GDP 1인당 GDP 인구 핀란드 3000억 달러 54,000달러 550만 덴마크 4200억 달러 71,000달러 590만 노르웨이 5500억 달러 100,.. 2023. 11. 21.
경기도 청년 기회사다리금융 마이너스통장 한도와 신청 방법 현재 경기도와 하나은행이 협력하여 경기도에 거주하는 25세~34세 청년들을 대상으로 저축과 대출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금융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현재 신용점수가 낮아서 일반적인 마이너스 통장을 뚫을 수 없는분들이라면 기회다리금융을 통해서 자금이 필요치 않더라도 나중에 혹시 모르니 일단 뚫어놓으면 큰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1) 기회사다리금융 대상 기회사다리금융은 신청일 기준으로 경기도에 주민등록이 되어있는 25세~34세 청년들이 대상인데 일단 첫번째로 경기도에 3년간 연속적으로 거주하고 있어야합니다. 그리고 혹시라도 중간에 경기도에서 기타 지역으로 주민등록을 전입신고 등의 이유로 옮겼다고 하더라도 생애 토탈 경기도 거주 기간이 10년 이상이면 누구나 가능합니다. 가장 좋은점은 기본적.. 2023. 11. 20.
유럽 3대장 독일/영국/프랑스 국력 비교(인구/GDP) 독일, 영국, 프랑스 이렇게 3개국은 보통 유럽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국가들입니다. 물론 관광으로 유명한곳들이 더 다양하게 있지만 국력의 기준을 두고 생각해보자면 가장 먼저 언급되는 국가들입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선 유럽연합(EU)의 3대장 독일과 영국 그리고 프랑스의 국력을 도표로 비교해보겠습니다. 2023년 10월 기준독일영국프랑스인구8,400만명6,800만명6,800만명GDP4조 4000억 달러3조 3000억 달러3조 달러1인당 GDP52,000 달러49,000 달러46,000 달러 일단 규모면에서는 독일이 영국과 프랑스를 인구부터 시작해서 모두 압도하는 분위기입니다. 괜히 독일이 유럽연합에서 대장 역할을 하는게 아닌듯 합니다. 영국과 프랑스는 정말 오랜 시절부터 영혼의 라이벌인만큼 신기할정도로.. 2023. 11. 19.
대만 출산율 0.8명 그리고 2035년에는 한국을 추월? 정말 동아시아는 저출산 지옥의 지역입니다. 명실상부 세계 초저출산 1위 국가를 보유한 우리부터 시작해서 중국, 대만, 일본, 그리고 동아시아는 아니지만 태국까지 주식으로 치면 저점이 어디인지 모를정도로 내리꽂고 있는 중입니다. 참고로 일본은 아니라고 생각하시는분들이 있지만 일본의 경우 출산율은 1.2명으로 한국/중국/대만/태국에 비해 양호해보일지 모르겠지만 4개국보다 이미 수십년전부터 저출산을 먼저 시작한 국가라서 완만한긴해도 결국 지옥문의 골인지점은 전부 동일하다는점 알고 계셔야 합니다. 안보에 위협을 받는다 대만 국가발전위원회(NDC)는 2035년 대만 합계출산율(한 여성이 가임기간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 예상치를 1.12명으로 제시했습니다. NDC는 2035년 한국의 합계출산율 예.. 2023. 1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