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제정세 관련70

통일한국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알아보자(+주변 열강들) 여러분은 통일에 대해 찬성하시나요 아니면 반대하시나요? 아마 각자의 생각에 따라서 찬성과 반대 의견이 다양할거라고 생각하는데 일단 저는 솔직히 이 주제에 대해서는 아직도 판단이 안섭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극히 주관적인 통일한국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이야기해보고 합니다.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도 있구나 정도로 가볍게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찬성한다 일단 통일한국을 찬성하는 이유는 국가적인 사이즈를 더 키울수 있다는 점에서 찬성합니다. 한국은 영토도 자원도 부족한 지정학에 위하면서도 오로지 인적자원을 갈아서 정말 유례없는 교육율과 기술력 개발에 투자해서 성공한 국가입니다. 하지만 이제 그 성장동력이 꺼졌고 여기서 도약을 하려면 제2의 한강의 기적이 필요한 시점인데 제2의 한강의 기적은 커녕 전세계에.. 2023. 12. 5.
한국과 북한의 경제력(GDP)은 얼마나 차이날까?(+핵무기) 이번 포스팅에선 한국과 북한의 경제력(GDP)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일단 솔직히 말해서 비교대상이 아니긴 합니다만 그럼에도 언제나 위에서 시끌시끌 거리는곳이면서도 언젠가 통일한국에 대상이기 때문에 늘 관심사입니다. 물론 통일에 대해 부정적인 시선이 압도적으로 많다는건 개인적으로도 알고 있고 저 역시도 통일에 대해 굳이 찬성과 반대쪽에서 이야기하자면 반대이긴하지만 대한민국 헌법상 북한 지역은 북한이 불법점거하고 있는곳이라고 명시되어있으며 현재 한국의 초위기상황인 저출산 문제가 해결 되지 않는다면 소멸을 걱정하는 입장에서 오히려 악을 쓰고 통일을 추진하지 않을까 합니다. 당연히 통일은 한국 주도의 통일을 이야기하는거며 자유민주주의를 말하는겁니다. 2023년 기준 대한민국 북한 인구 5100만명 25.. 2023. 12. 4.
동아시아(한국/일본/대만/중국)의 저출산과 출산율이 낮은 이유 사실 저출산 문제는 동아시아 국가들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유럽의 선진국들도 저출산 문제가 당연히 있으며 특히나 스페인이나 이탈리아는 가장 심한 국가로 알려져있고 대부분의 유럽 선진국들 역시 저출산 문제를 어떻게든 지연하고자 이민 정책에 엄청나게 적극적입니다. 그럼에도 유럽에 비해 동아시아 지역은 유난히 저출산이 심각한데 대체 한국/일본/대만/중국은 왜이렇게 저출산이 심각한걸까요? 여기서 일본은 그래도 출산율이 1.2명대이니까 준수한거 아니야? 라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일본은 애초에 이미 다른 국가들보다 20년 먼저 저출산에 돌입한 국가라 현재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완만해 보여도 결국 골인 지점 시기는 동일합니다. 일단 급속한 경제 발전이 대부분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데 동아시아의 특징은 전부 단기간에 .. 2023. 12. 2.
한국은 G9에 들어갈 국력을 정말 갖췄을까?(인구/GDP) 최근에 주요 7개국(G7)에 한국과 호주를 포함해서 정식 회원국을 9개국으로 늘리자는 미국 바이든 대통령의 측근으로부터 이야기가 나왔다고 합니다. 미 대통령 고위 자문인 론 클레인 전 백악관 비서실장은 싱크탱크 카네기국제평화재단 사이트에 "이제는 G9으로 해야 할때" 라는 기고문을 작성했는데 이쯤에서 과연 한국이 G9에 들어갈 국력을 갖췄는지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싶어졌습니다. 일단 내용은 이렇습니다. G7이 출범했을 당시와는 다르게 현재 국제정세가 너무나 많이 달라졌으며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그리고 미국에 대한 중국의 경제/안보/환경에 대한 도전, 이스라엘-중동 분쟁까지 국가간의 협력 관계가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다는겁니다. G20이 있지만 G20의 경우 회원국이 워낙 많아서 활동의 복잡성이 있어서 G.. 2023. 12. 1.
그리스 경제위기, 그렉시트(Grexit)를 안하는 진짜 이유 딱히 그리스에 관심이 없는분들도 주기적으로 그리스 경제 파산이라는 단어를 알게 모르게 들으셔서 그런지 그리스하면 뷰가 예쁜 나라이면서 항상 경제가 어려운 국가로 인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까지 불행하게도 사실입니다. 그리스는 유럽연합(EU)에 소속중입니다. 이런 그리스가 경제적인 이유로 유럽연합에서 탈퇴 즉 그렉시트를 내부에서 주장했었지만결국 잔류하기로 결정되었습니다. 영국은 브렉시트를 통해서 유럽엽합에서 탈퇴했는데 그리스는 대체 왜 탈퇴 하지 않은걸까요? 장점보다 단점이 크다 당연한 이유지만 장점보다 단점이 크기에 탈퇴하지 않은겁니다. 그리스는 2015년에 IMF와 EU에서 구제금융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국가가 디폴트를 선언하면 채무 자체가 사라집니다. 한마디로 채무에 대한 부담감에.. 2023. 11. 30.
태국 출산율이 0.9명대 진입한 이유(+아시아 출산율) 현재 지구상에서 저출산이 사회적 문제로 가장 인식 되고 있는 지역은 아마 아시아가 아닐까 싶습니다. 일단 초저출산의 1인자 한국과 더불어 대만/일본/중국 동아시아 4개국 포함해서 동남아시아의 태국까지 저출산 라인에 합류했습니다. 특히 도시국가(홍콩,마카오)를 제외한 사이즈가 나오는 국가 단위에서는 한국 혼자 0.X대여서 조금 외로웠는데 친구들이 생겼습니다. 올해 대만이 0.8명대를 기록 예정중이며 중국은 내년에 0.9명대로 진입이 예측 되고 있고 2022년 1.0명의 출산율을 기록했던 태국이 올해 0.9명대로 한국에게 손을 내미는 모습입니다. 일본은 과거부터 탈아시아를 외쳤던 국가답게 아직 내려올 생각이 조금 덜한것 같습니다. 2022년에 1.2명대 출산율을 기록했고 올해는 1.1명 기록 예측중입니다. .. 2023. 11. 23.
동남아시아(베트남/태국/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가 선진국 진입이 힘든 이유 사실 동남아시아에는 여러 국가들이 있지만 일단 가장 대표적으로 떠오르는 국가들과 그리고 어느정도 국력의 사이즈가 되는 국가들은 대게 인도네시아/태국/베트남/필리핀/말레이시아 이정도입니다. 여기서 태국과 말레이시아는 개발도상국과 중진국의 중간선상에 있는것으로 대체로 보는편이고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는 개발도상국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후발주자 국가들이 경제적으로 선진국 진입이 힘든 이유가 뭘까요? 일단 잠깐 한국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가끔 방송이나 유튜브에서 보면 마치 한국만을 2차 세계 대전이후에 유일하게 초고속 경제 성장에 성공한 국가로 말하는데 사실 그렇지는 않습니다. 아시아만 봐도 일본/대만/중국 역시 초고속 성장에 성공한 국가들입니다. 물론 한국의 경우가 조금더 극단적이긴 했던게 1945년 .. 2023. 11.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