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정세 관련

동남아시아 인구대국 인도네시아 GDP 순위와 전망

by 모드니:) 2023. 8. 20.
반응형

동남아시아하면 왠지 태국,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정도를 가장 먼저 떠올리는데 그래서 그런지 아직 주목을 많이 받지 못하고 있는 느낌의 인도네시아입니다. 그런데 알고보면 세계 모든 기관에서 추후 경제대국으로 전망하는게 바로 인도네시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왜 인도네시아가 이런 장미빛 전망을 받고있는지 그리고 인도네시아 GDP 순위와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도네시아 GDP 순위와 전망


 

 

일단 우리가 생각하는 이미지와는 전혀 다르게 인도네시아는 면적과 인구 규모부터 동남아시아는 물론이고 아시아 전역에서도 최상위권에 위치해있습니다. 먼저 대표적인 동아시아 국가들(대한민국, 대만, 일본)과 한번 비교해보겠습니다.
 

2023년 기준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일본 대만
인구 2억 7,700만명 5,100만명 1억 2,300만명 2,300만명
면적 190만km2 10만km2 38만km2 3.6만km2
GDP 1.4조 달러 1.7조 달러 4.4조 달러 0.8조 달러
1인당 GDP 5,000달러 33,000달러 35,000달러 34,000달러

 
면적만 보면 동아시아 국가들은 비교가 안됩니다. 대한민국의 19배, 일본의 5배, 대만의 52배 큰 국가가 인도네시아입니다. 인구 역시 대한민국+일본+대만을 합친것보다도 무려 약 8,000만명이 더 많습니다.
 
여기에 인도네시아는 엄청난 자원대국이라 이러한 인구+자원 규모를 바탕으로 차기 경제대국으로 전망되는중입니다.
 
국가 총 GDP는 아무래도 인구가 많으면 많을수록 상당히 유리합니다. 인도만 해도 1인당 GDP는 고작 2,000~3000달러지만 인구가 무려 14억이라 국가 총 GDP가 3조 달러가 넘어가므로 강대국으로 인정되며 세계에 있는 많은 기업들이 인도 시장을 절대 포기 못하는겁니다.
 

 

환태평양 조산대

 

인도네시아 역시 마찬가지인데 다만 인도네시아의 경우 불의고리라고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 라인에 들어가있어서 자연재해로 인한 소모적 피해가 주기적으로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2023년 4월 기준으로 인도네시아의 GDP는 전세계 16위에 위치해있으며 바로 아래로는 네덜란드가 위치해있습니다. 네덜란드는 인구가 1,700만명뿐이지만 1조달러라는 엄청난 경제 규모를 보여주며 1인당 GDP 역시 60,000달러정도인 부유한 선진국인데 인도네시아의 2억 8,000만명 인구 물량에는 역시 당해내지를 못합니다. 물론 그렇다고해서 인도네시아가 네덜란드보다 부유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추후에 인도네시아는 2030년이전에 인구가 5,100만명뿐인 한국의 GDP를 추월할걸로 보여지며 2040년이전에는 일본을 추월하여 미국-중국-인도-독일-인도네시아-일본 순으로 국가 총 GDP가 자리잡힐거라고 보는 전망들이 압도적으로 많은 추세입니다. 
 
경제규모가 커질수록 지역에서 행사하는 영향력도 당연히 그만큼 커질 예정이므로 한국 기업들도 과거부터 진작에 인도네시아 시장을 겨냥해서 다양한 투자를 이어가는것으로 알려져있는데 추후에 인도네시아 시장이 한국 경제에 어떤 이점으로 작용할지는 조금더 지켜봐야할것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