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영국 국제교류 전문업체인 헨리앤드파트너스에서 매분기마다 전세계 국가들의 여권 파워 지수 랭킹을 발표하는데 여권 지수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자료를 바탕으로 특정 국가의 여권 소지자가 무비자로 방문하거나 입국시 비자 발급 등 사실상 무비자로 갈 수 있는 국가가 몇개국인지를 지수화한것입니다.
그럼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년 3분기를 기준으로 세계 여권 파워 순위와 대한민국 여권 랭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순위 | 국가 | 무비자 방문국가 |
1 | 싱가포르 | 192개국 |
2 | 독일 | 190개국 |
2 | 이탈리아 | 190개국 |
2 | 스페인 | 190개국 |
싱가포르가 192개국으로 단독 1위를 차지하였으며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이 190개국으로 공동 2위를 차지하였습니다.
순위 | 국가 | 무비자 방문 국가 |
3 | 대한민국 | 189 |
3 | 오스트리아 | 189 |
3 | 핀란드 | 189 |
3 | 프랑스 | 189 |
3 | 룩셈부르크 | 189 |
3 | 스웨덴 | 189 |
3 | 일본 | 189 |
다음으로는 대한민국, 오스트리아, 핀란드, 프랑스, 룩셈부르크, 스웨덴, 일본이 189개국으로 공동 3위를 차지하였습니다. 참고로, 대한민국의 경우 이미 오래전부터 여권 파워 지수 최상위권에 항상 위치하고 있습니다.
순위 | 국가 | 무비자 방문국 |
4 | 덴마크 | 188개국 |
4 | 아일랜드 | 188개국 |
4 | 네덜란드 | 188개국 |
4 | 영국 | 188개국 |
다음으로는 덴마크, 아일랜드, 네덜란드, 영국이 188개국으로 공동 4위를 차지하였습니다.
여권 파워 지수가 높은 국가일수록 해당 국민이 해외에서 불법 체류할 가능성이 매우 낮고, 여권 파워 지수가 높은 해당 국가의 국민은 방문 국가의 관광 산업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가 되며, 정치적 그리고 외교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우려가 매우 적다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여권파워지수가 강할수록 나쁠건 당연히 전혀 없으며 매우 유의미하긴하지만 그럼에도 이렇게 최상위권에 위치한 그룹 국가들의 순위는 그다지 무의미하므로 재미삼아 보시면 될 것같습니다.
현재 한국인들의 해외 관광이 엄청난 붐인데 급속도록 소준 수준이 상승한 요인도 있고 현재 아시아 어디를 가든지 물가가 한국보다 낮기에 (홍콩, 싱가포르 제외) 사실상 아시아 전역의 관광 산업은 한국인들이 산소호흡기 역할을 해주고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베트남, 일본, 대만, 하와이, 괌, 필리핀(미국에 이어 2위) 전부 한국인 관광객이 1위 국가들입니다. 여기서 특히 베트남과 일본은 매달 무려 50만명씩 방문중인데, 이렇게 관광을 많이할때일수록 타국가에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관광 매너가 필요한 시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참고로, 여권 파워 지수가 강한 국가들의 여권은 세계적으로도 언제나 국제범죄에 표적이 되기 쉬워서 항상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들려옵니다. 특히 한국 여권의 경우 중국인들에게 언제나 표적대상 1위에 위치해 있어서 호주, 뉴질랜드와 같은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한국 여권을 불법 소지하여 범죄를 저지르다 적발된 사례가 상당히 많다고합니다.
오늘은 2023년 기준 세계 여권 파워 순위와 대한민국 여권 랭킹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해외여행에 진심인 민족인만큼 자국의 여권이 세계적으로 어느정도 위치에서 평가를 받고있는지 재미삼아 궁금해하시는분들이 계실거라는 생각에 포스팅을 해봤습니다!
'국제정세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스라엘 아이언돔의 한계 : 하마스 로켓 9500발중 2000발 요격 (0) | 2023.11.10 |
---|---|
동남아시아 인구대국 인도네시아 GDP 순위와 전망 (0) | 2023.08.20 |
일본 후쿠오카 여행에서 느낀 일본인의 특징 5가지 (0) | 2023.07.19 |
국제사법재판소(ICJ)의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자(+독도) (0) | 2023.06.18 |
삼성 파운드리가 TSMC 파운드리를 따라잡기 힘든 이유 (0) | 2023.06.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