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제정세 관련70 인구대국 필리핀의 GDP 순위와 1인당 GDP 순위는? 어찌보면 참 안타까운 국가중에 하나이다. 잠재력은 분명히 있는데 동남아시아에조차 여전히 중위층에 위치한 국가가 바로 필리핀이다. 그리고 필리핀을 이야기할때 간혹 1960년대 이전까지 한국보다 훨씬 잘살았던 국가인데 정치로 인해 망가졌다는 이야기들을 많이 하는데 이건 틀린말이다. 통계상으로 보면 정작 1960년대에도 1인당 gdp에서는 한국이나 필리핀이나 차이가 없다. 1970년대에 박정희 역시 필리핀을 후진국이라고 무시했으며 이상하게 장충체육관을 필리핀이 지어줬다는(전혀 상관없음) 루머가 여전히 가끔 돌고 있는거 보면 의아한게 사실이다. 아무쪼록 이번 시간에는 동남아시아의 인구대국 필리핀의 1인당 GDP와 국가 총 GDP 순위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다. 일단 기본적으로 동남아시아에서 대장 노릇은.. 2023. 5. 2. 2023년 대만 GDP와 1인당 GDP 순위는? (+대한민국) 어쩌면 중국과의 분쟁으로 인지도가 상승한 대만인데, 사실 오래전 단어이지만 아시아의 4마리 용이라며 대한민국, 홍콩, 싱가포르, 대만을 묶어서 불리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아시아에서 가장 고속 성장을 하던 국가들을 묶었던 표현인데 대한민국의 경우 사이즈가 워낙 커져서 저렇게 묶여 부르던 시절을 한참전에 지났습니다. 아무튼 각설하고 대만의 경우 국가적으로 엄청난 지원을 바탕으로 최근 몇년간 반도체 산업에서 세계적인 두각을 나타내며 코로나 시기에도 나름 선방하며 드디어 20년만에 대한민국을 1인당 GDP를 역전시키는 기염을 토해냈습니다. 그럼 오늘은 대만의 GDP와 1인당 GDP 순위를 대한민국과 비교해보며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도표로 먼저 비교해보겠습니다. 2023년 4월 (IMF발표) 대만 대한.. 2023. 4. 26. 대한민국 저출산이 재앙으로 다가올 이유 가히 파멸적인 출산율을 기록중이다. 일단 속도가 빨리 빨리 문화의 한국인들 아니랄까봐 폭발적이다. 정말 항상 느끼지만 참 다이나믹 코리아다. 뭐가 그렇게 뭐든지 빠른지 모르겠다. 간혹 저출산 기사만 보이면 자국을 조롱하면서 애 낳는 사람들 죄인 취급하면서 물타기를 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이 보이는데 합리적인 의심으로 국적이 의심스러울정도이다. 자원도 영토도 부족한 가진거라곤 오로지 인적자원뿐인 한국의 경우 0.7의 출산율은 국가소멸적 비상위기라는 말이 너무나 어울리는 단어이다. 그럼 오늘은 왜 유난히 한국의 경우 저추란이 재앙으로 다가오는지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려고 한다. 지정학 위치 대한민국의 지도를 잘보자. 왼쪽엔 무려 미국과 패권전쟁중이며 세계 GDP 2위, 인구 14억명, 군사력 최상위권을 유지중.. 2023. 4. 17. 이탈리아 GDP 순위는?(+강대국의 최소) 이탈리아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뭐가 있을까? 축구? 고대 로마? 아마 대게 명품 관련된 산업에 대한 이미지와 관광대국이라는 이미지가 가장 많을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의외로 사람들이 이탈리아가 G7 멤버 국가이면서 강대국이라는 사실에 대해서는 물음표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사실 어쩌면 당연할지도 모르는게 과거 이탈리아 명성에 비해 현재의 이탈리아는 사실 상당히 쇠퇴한 국가인게 사실이다. 그렇다고해서 이탈리아가 무시받을만한 국가라는건 절대 아니고, 과거에 비해서 그렇다는 이야기다. 그리고 재밌는 사실인데 강대국에 이탈리아를 넣어야하나 말아야하나라는 이야기는 사실 예전부터 있어왔던 이야기이며 이런 이탈리아를 위해서 생긴 단어가 라는 단어이다. 한마디로 이탈리아가 강대국의 마지노선이라는 이야기. 영프독에 가려.. 2023. 4. 15. 대한민국 1인당 GDP 4만달러 달성 예상 시기 2022년 대한민국의 1인당 GDP는 33,591달러로 집계되었습니다. 2017년 1인당 GDP 3만달러를 돌파한 이후로 32,000달러 ~ 35,000달러 박스권에서 움직이는중입니다. 1인당 GDP를 결정하는 요소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으로 환율의 작용입니다. 여기까지 이야기가 들어가면 너무 길어지므로 오늘은 포스팅 주제에 맞게 대한민국의 1인당 GDP 4만달러 달성 예상 시기에 대해 오늘은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아시아에서 대한민국과 가장 비슷한 1인당 GDP를 보여주는 국가들은 대표적으로 대만과 일본입니다. 사실상 차이가 없는데 일단 도표로 확인해보겠습니다. 연도 대한민국 일본 대만 2017년 31,605달러 38,834달러 25,704달러 2022년 33,591달러 34,358달.. 2023. 4. 12. 세계 최대 규모의 연기금 1위 일본이 흔들리고 있다 작년 2022년 기준으로 세계 최대 3대 연기금을 운용중인 국가들의 순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1위) 일본 연기금 총 자산 1조 7000억달러 (2,200조원) 2위) 노르웨이 연기금 총 자산 1조 4,000억달러(1,800조원) 3위) 대한민국 연기금 총 자산 7,980억달러(1,030조원) 엄청난 규모의 연금액을 국가에서 운용중인 세계 3대 국가들입니다. 노르웨이는 인구(약 550만명)와 GDP규모(4,400억달러)를 고려했을때 정말 엄청난 규모의 연금을 운용중입니다. 노르웨이에 관한 포스팅은 다음에 자세히 다룰 예정이며 오늘은 일본을 주제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참고로, 일본의 사정이 여의치 않다고해서 한국은 잘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절대 아니고 무슨 다짜고짜 반일이니 뭐니 되도 않는 정치적 사상을 가.. 2023. 4. 10. 금리 인상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경제기사를 보시면 환율, 금리라는 용어가 상당히 많이 나오죠. 그리고 금리 인상 및 인하에 대해 언론들도 상당히 민감하게 기사를 발표하고 미국 금리 인상 여부에 대해 다들 촉각을 세우는데, 대체 금리 인상이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길래 이런 반응들을 하는걸까요? 참고로, 한국 경제는 금리 인상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는 경제입니다. 따라서 금리 인상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금리 인상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자세히 알아보아야 합니다. 금리 인상은 주로 중앙은행이 경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취하는 정책 중 하나입니다. 금리 인상은 기본적으로 대출금리를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출금리가 높아지면 기업들은 투자를 어렵게 생각하게 되므로 기업 투자 활동이 저하될 가능.. 2023. 4. 5.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