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잡이야기 관련

아시안컵 아시아 피파랭킹 순위와 한국의 순위

by 모드니:) 2023. 11. 27.
반응형

사실 피파랭킹이라는거에 큰 의미를 두기에는 대륙별(유럽/남미/아시아/아프리카)로 치뤄지는 경기 횟수라던가 대륙별로 승점 자판기 국가들이 얼마나 포진되어있는지, 얼마나 경기를 많이 했는지에 따라 달라져서 재미로 보는게 맞긴합니다.
 
예로 현재 피파랭킹 1위가 아르헨티나인데 피파랭킹 15위인 우루과이에 얼마든지 패배할수 있는겁니다. 실제로 이번 월드컵 남미예선에서 아르헨티나는 우루과이에게 0:2 패배를 당하였으며 현재 피파랭킹 3위인 브라질은 남미예선에서 3연패로 무려 6위까지 떨어진 상황입니다.
 
이처럼 피파랭킹이 어디가 좀더 높다고해서 무작정 해당 팀이 승리할거라는 이상한 논리는 그저 국가별 감정적인 부분이라 무시하는게 좋습니다. 그럼 조만간 있을 아시안컵을 생각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시아 피파랭킹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시아 피파랭킹

 

 
1위 - 일본(세계 18위)
 
현재 아시아 피파랭킹 1위는 일본입니다. 지난 월드컵에서 점유율에서 반코트 게임을 당하면서도 선수비 후역습 전술로 스페인과 독일을 격파하는 대이변을 보여주더니 월드컵이 끝난 이후 현재 일본의 전력을 일본 역사상 최강이라는 평가를 받을정도로 파죽지세입니다. 
 
특히나 일본의 경우 현재 해외파만 무려 100명이 넘어가는 수준으로 최근 몇년간 급격하게 발전했습니다. 물론 100명이 전부 유럽 1부리그는 아니며 1부 리그(프리미어리그/분데스리가/라리가/세리에A/리그앙)에서는 15명의 선수가 활약중입니다.
 



2위 - 이란(세계 21위)
 
현재 아시아 피파랭킹 2위는 이란입니다. 전통적인 아시아 축구의 강호로 이란은 강력한 피지컬을 바탕으로 언제나 우승후보 였습니다. 이번 카타르 아시안컵에서도 역시 이란은 우승후보로 주목 받는중입니다. 
 
특히 한국은 이란과의 악연이 많은편이라 상대적으로 고전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줬는데 최근 마지막 경기인 작년 월드컵 3차 예선에서 한국이 이란을 2:0으로 잡으면서 최근 3경기 전적은 한국이 1승 2무로 근소하게 앞서는중입니다.


 

 

3위 - 한국(세계 24위)
 
아시아 피파랭킹 3위는 한국입니다. 손흥민/이강인/황희찬/김민재가 현재 유럽 빅리그에서 주전으로 활약중인데 특히나 한국은 전통적으로 공격 화력면에서 언제나 아시아 1위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번에도 역시나 손흥민-이강인-황희찬-조규성-황의조로 이루어진 공격 화력에서는 한국을 이길만한 국가는 없다는 평가이지만 고질병인 수비 문제가 지적됩니다. 김민재라는 월드클래스 수비가 있지만 축구는 단체 게임이기에 수비력에 더욱 보강이 이루어진다면 아시안컵 우승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4위 - 호주(세계 27위)
 
아시아 피파랭킹 4위는 호주가 위치해있습니다. 호주는 사실 아시아는 아니고 정확히는 오세아니아지만 워낙 오세아니아 지역이 축구하는 국가가 없다보니 아시아로 편입되어있습니다. 유럽으로 가기엔 월드컵 진출이 힘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수월한 아시아로 들어왔습니다. 
 
호주는 사실상 유럽팀으로 분류되는 피지컬을 바탕으로 아시아내에서 상위권 국가로 이번 아시안컵에서도 역시나 우승 후보입니다. 2015년 아시안컵에서 한국과 호주가 결승전에 만났는데 연장전까지 가는 혈투 끝에 한국이 패배하면서 호주가 우승하였습니다. 재밌는건 당시 호주 감독이 포스테코글루인데 현재 토트넘 감독으로 손흥민과 한솥밥을 먹고 있습니다.


 

5위 - 사우디아라비아(세계 57위) 
 
여기서부터는 피파랭킹이 조금 멀리 떨어지는데 5위는 중동의 강호 사우디입니다. 사우디 역시 언제나 아시아 지역내에서 축구 강호로 불리고 있는데 한동안 침체기를 맞아서 존재감이 제로였다가 최근 몇년간 다시 부활중입니다. 특히나 카타르 월드컵에서 조별예선에서 무려 메시의 아르헨티나를 2:1로 잡으면서 대이변의 주인공이 되었습니다. 비록 이후에 폴란드와 멕시코에게 패배하면서 16강 진출에는 탈락했지만 사우디의 부활을 알리는 신호탄이였습니다. 


여기까지가 사실상 이번 카타르 아시안컵의 가장 강력한 우승후보 국가들입니다. 물론 공은 둥글기에 어떤 국가가 이변을 연출할지는 누구도 예상하지 못하는 부분이지만 일단 객관전인 전력면에서는 한국/호주/사우디/일본/이란 이렇게 5개국이 최상위권입니다.
 
 
6위 - 카타르(세계 61위)
 
7위 - 우즈베키스탄(세계 73위)
 
8위 - 중국(세계 79위)
 
9위 - 바레인(세계 83위)
 
10위 - 베트남(세계 94위)
 

반응형

댓글